수축튜브를 이용한 낚시대 손잡이 튜닝하기

 

김중석 [낚시춘추 객원기자. (주)천류 필드스탭 팀장]

 

 

상류 새물 유입구에서 낚시하던 순천 동고동락회원의 자리가 부산했다. 한 마리 걸었나 싶었는데 잉어가 4칸대를 차고 나가버렸다고 했다. 어두운 수면에 케미 불빛만 몇 차례 보이더니 이내 사라져버렸다.”

-낚시춘추 20146월호 백운지 4짜 쓰나미기사중에서-

 

낚시를 하다보면 순식간에 낚싯대를 차고 나가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곤 한다.

눈 깜박할 사이에 차고나간 어종으로는 대부분 덩치가 있는 어종으로 수초 밭에서야 멀리 끌고가진 않으니까 건져 낼 수 있다지만, 백운지 처럼 수초 없는 밋밋한 저수지의 경우 물고기가 낚싯대를 끌고 중앙부 쪽으로 저수지 탐방 길에 오른다면 그 낚싯대는 포기해야 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지난번 화보 촬영시 곁에서 직접 목격했는데 내 낚시대는 안전한가?”라고 한번쯤 생각을 하게 되었다.

그래서 많은 고민도 할 것 없이 결론은 수축튜브를 이용한 낚시대 튜닝이었다.

천류의 필드스탭 팀장으로서 낚시대를 그대로 사용하지 않고 튜닝해서 사용하는 것은 좀 그렇지만 그래도 낚시대를 빼앗기는 것보다는 나을 것이라는 판단에 수축튜브로 튜닝하기로 마음먹었다.

수축튜브를 이용한 낚싯대 손잡이 튜닝은 필자가 나름 연구해서 만든 것이라 타 낚시인들과 다를 수 있는데 안전을 기본에 두고 만들어 보면서 서로 같이 공유하고자 한다.

 

핸드폰으로 촬영한 사진으로 다소 화질이 좋지 않지만 사진들을 보면서 설명하고자 한다.

 

 

 

완성된 낚싯대

자세하게 보면 하단에서 윗쪽으로 요철이 있음이 보인다.

 

 

일반 낚시점에서 구입한 수축튜브.

시중에는 메이커별로 많은 종류의 수축튜브가 시판되고 있지만 선택을 잘 해야 한다.

잘못 구입했을 경우 수축이 제대로 되지 않거나 나중에 헐렁거림, 그리고 손에 묻어나오는 현상과 미끄러운 현상이 있을 수 있다. 또 중국에서 만든 제품을 일본 제품이라 하여 판매한 곳이 많아 구입시 신중한 선택을 해야 한다.

사진의 제품은 동명 인팩션 수축고무 (일본산)로 광양의 낚시갤러리&캠핑에서 구입했다.

사이즈는 20mm, 25mm, 30mm이고 길이가 50cm이므로 낚싯대 두 대를 작업 할 수 있고, 본인의 낚싯대 손잡이 긁기에 맞춰서 구입하면 된다.


 

요철을 만들어내는 반창고.

일반 약국에 가면 쉽게 구할 수 있는데 가격은 500원이다. 선택은 무조건 헝겁으로 만들어진 반창고이면 된다.

 

 

작업을 하기 위해 펼쳐 놓은 모습.

 

 

수축튜브의 길이를 어느 선까지 할것인가?

손잡이대 바로 위쪽 라인까지 하면된다.

 

 

필자가 올 해 기본 주력대로 사용하고 있는 낚싯대는 천류의 천년학리미트이다.

손잡이 부분의 굵기를 보면,

 

■ 천년학리미트 기준으로

 

 칸수 손잡이 굵기   사용할 튜브
 20   18    20 
 22  18  20
 24  19  20
 26  20  25
 28  20  25
 30  21  25
 32  21  25 
 34  23  25
 36  23  25
 38  24  25
 40  24  25
 42  24  25
 44  24  25
 46  25  30
 48  25  30
 50  27  30
 52  27  30

※ 천류에서 생산된 설화수골드나 한반도케브러 낚싯대도 거의 같은 굵기이다.

 

 

수축튜브 길이를 줄자를 이용해 23.5cm로 자른다.

 

 

 

일정한 구간에 요철을 만들기 위해 명함을 이용했다.

명함의 폭이 5cm이므로 손잡이대 끝에서 5cm 지점에 요철을 만들기 위해 반창고를 감아야 한다.

 

 

낚시대 굵기에 따라 반창고를 감는 횟수를 달리 하는데

굵기가 가늘다면 3~4바퀴, 굵다면 1~2바퀴 감아주면된다.

 

 

요철을 만드는 이유는 브레이크 헤드에서 미끄러지거나 밀려서 낚싯대를 빼앗기지 않기 위함으로

오링을 이용 할 수도 있으나, 오링의 경우 우레탄이 아닌 일반 고무의 경우에는 수축고무 안에서 삭아 떨어지는 경우도 있다.

그러므로 접착력이 있는 의료용 반창고가 좋은데 폭이 10mm 짜리이면 무난하다.

 

 

 

반창고를 감아 놓은 모습.

 

 

이번에는 수축고무를 끼워야 할 차례.

수축고무가 약간 작더라도 돌리면서 밀어 올리면 쉽게 들어간다.

 

 

낚싯대 하단의 마개부분에는 3~4mm 정도 돌출되게 해야 한다.

이는 마개까지 감씨기 위함이다.

마개를 제거하고 수축고무를 수축시켜 나머지 부분을 칼로 제거 할 수도 있는데 이럴 때는 사용하다 보면 윗쪽으로 밀려들어가 미관상 보기 않좋다.

 

 

가스불에 가열해서 수축고무를 수축시키고 있다.

가열할때는 앞뒤로 밀고, 당기며 돌려주면서 골고루 열이 전달되게 해야 한다.

 

 

 

 

손잡이대에 지나치게 열을 가하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하다.

낚시대의 재질이 카본이라서 고온으로 수축을 시킨다면 낚시대에 무리가 간다.

 

 

 

수축이 고르게 되어 있는지 꼼꼼하게 점검해보고 기포가 생긴곳은 더 열을 가해 완전하게 수축이 될 수 있게 해준다.

 

 

 

 

완전하게 수축이 되지 않았을때 미리 자리를 잡이주고 있다.

모든 낚시대의 손잡이 라인선에 맞춰줘야 깔끔하게 보인다.

 

 

뒷마개 부분.

개인의 취향에 따라 마개를 감싸는 방법이 있고, 마개를 제외하고 더 길게 수축시켜 마개 잠그기전 낚시대 손잡이 끝선에 맞춰 칼로 오려내는 방법도 있으나 필자는 마개까지 감싸는 방법을 선택했다.

마개까지 감싸주면서 미관상에도 좋기 때문이다.

어쩌다 한번 마개를 분리 시켜야 할 때는 철로 만든 젓가락이나 일자 드러이버등으로 살짝 들어서 위로 말리도록 해 놓고 마개를 열면된다.

 

 

 

 

완성된 수축튜브.

요철을 만들어 줌으로서 브레이크 헤드에 끼웠을 때 미끌림을 방지 할 수 있다.

 

 

 

그리고 현장에서 사용시에는 어느 브레이크 헤드도 마찮가지겠지만 헤드에 장착해 놓고 낚싯대 쪽으로 지긋하게 밀어서 꼬~옥 끼이게 해놓은 습관을 길러야 한다.

 

 

 

주리주리 브레이크 헤드에 장착 해 놓은 모습.

주의 할 점은 브레이크 헤드와 낚싯대가 직각이 이루어지도록 브레이크 헤드를 조절해 준다.

헤드가 틀어지거나 하면 브레이크 헤드로서 역할을 못 할 때가 있다.

 

 

브레이크 헤드에 낚싯대를 올려 놓을 때는 살짝 걸치지 말고 하단부에 닿도록 깊게 안착 시키고, 앞쪽으로 밀어서 해드와 완전 밀칙되게 해 놓아야 한다.

 

 

낚시터에서 낚시대를 펼쳐 놓은 모습.

 

 

빨간색으로 하려다 녹색으로 선택했는데 심플받침틀의 색상과 비슷해 보기가 더 좋았다.

 

 

심플받침틀의 앞 받침대.

스텐레스로 되어 있는 앞 받침대를 광고사에서 천년학리미트와 같은 디자인, 같은 색상으로 맞췄다.

많은 낚시인들의 로망으로 누구나 자기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낚시대의 이미지 파일만 있으면 쉽게 광고사를 통해 만들어 붙일 수가 있다.

 

 

이렇게 낚싯대 손잡이를 수축튜브로 튜닝을 하게 되면

그립감이 좋고, 미끄럽지 않고, 브레이크 헤드가 확실하게 잡아주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감전 사고를 어느 정도는 예방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새우쿨러 튜닝하기

 

김중석[낚시춘추 객원기자. (주)천류 필드스탭 팀장]

 

세월을 거스르지 못하고 어느새 봄이 왔다.

지난겨울 출조하지 못하는 날이 많아져 마음은 물가에 있는 것이 사실.

그래서 무엇인가 해보려고 작정한 것이 새우쿨러 튜닝이었다.

밤낚시중 어둠속에서 쓸 만한 새우를 고르기 위해 모자에 달린 후레쉬를 켜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애고 뚜껑을 열었을 때 자동으로 후레쉬가 켜지도록 튜닝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었다.

없는 솜씨이지만 나름대로 튜닝을 해놓고 보니 기대이상의 효과를 보았다.

왜 이런 생각을 미리서 하지 못했을까? 하는 아쉬움도 있었다.

튜닝이라 해봤자 집에 흔히 몇 개씩 굴러다니고 있는 휴대폰 보조밧데리 충전기를 이용한 것뿐이었다.

누구나 조금만 상식이 있다면 손쉽게 만들 수 있어 함께 공유 하고 져 한다.

 

완성된 새우쿨러의 모습으로 가운데 지점에 LED등을 달았다.

 

 

지금까지 몇 년째 사용중인 새우쿨러.

쿨러 튜닝하기 전에의 모습으로 자주 세척은 한다지만 그래도 때가 끼어 있다.

 

 

주방용 세제를 이용해 깔끔하게 세척하고 있는 모습.

 

 

세척후의 모습.

나름 깨끗해졌음을 느낄 수 있다.

 

 

본격 튜닝하기에 앞서 수집한 핸드폰 보조밧데리이다.

스위치와 LED 전구까지 수집 했다.

이중 가장 쓸만한 것을 골라 사용할 예정이다.

 

 

새우쿨러에 사용될 핸드폰 밧데리 케이스에 LED 전구를 연결해 테스트를 해봤다.

접지가 잘 되는지, LED전구의 밝기는 밝은지 먼저 확인했다.

 

휴대용 핸드폰 밧데리의 용량 테스트를 해봤는데 연속해서 3일 이상 밝기를 유지 한채 켜져있었다.

이는 하룻밤 낚시중에 새우를 미끼를 꿰기 위해 열고 닫고를 수 없이 반복해도 1년에 한 두번 충전이면 충분한 용량이다.

 

 

새우쿨러 앞쪽(도어가 있는 방향)에 휴대용 밧데리 케이스가 들어갈 수 있도록 먼저 펜으로 마킹을 한 후 컷타 날이나 쇠톱으로 잘라낸다. 이때에 절삭날이 깊게 들어가 이중으로 되어 있는 안쪽에 플라스틱이 손상가지 않게 주의를 한다.

 

 

보온 효과를 높이기위해 채워진 스티로폴을 잘라낸다.

 

 

그리고 LED 전구가 들어갈 위치와 스위치가 들어갈 위치에 구멍을 내고 휴대용 보조밧데리 케이스를 넣은다.

 

 

결선된 선을 모두 넣고 휴대용 핸드폰 밧데리 케이스를 안착시킨다.

마무리를 실리콘으로 하는데 색생에는 관계없다.

실리콘이 잘라낸 뚜껑을 잡아주는 역할까지 하는데 표면보다 더 튀어 나오거나 더 밑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실리콘이 굳어질때까지 수평상태를 유지 한다.

 

 

새우쿨러에 휴대용 핸드폰 밧데리를 내장했고, 뚜껑을 붙였는데 우측에 충전용 짹을 꽂을 수 있도록 홈을 만들었다.

보기가 흉하다(?) 아래 사진들을 보면 참고가 될 것이다.

 

 

새우통 내부에 장착이 될 LED전구.

 

 

LED전구를 에폭시 본드를 이용해 붙였다.

방수가 되도록 전구 주변에까지 본드를 칠해주고 마를때까지 기다린다.

LED전구를 붙일때 방향은 뚜껑 손잡이 있는 방향에 붙여야 한다. 불빛이 직접적으로 눈에 비추지 않게 함이다.

눈에 LED 조명이 직접 보이면 너무 강렬해서 순간적으로 눈이 안 보인다. 새우를 바늘에 꿰면서도 찌를 봐야 하기 때문이다.

 

 

이번에는 뚜껑을 열었을때 자동으로 불이 켜지도록 스위치가 안착될 구멍을 뚫은다.

가급적 헐겁지 않게 뚫은것이 요령.

 

 

스위치를 밀어넣고 역시 에폭시 본드를 이용해 붙이는데 새우쿨러의 수평된 면과 평행이 되도록 한다.

 

 

색상과 본드의 자국을 없애기 위해 새우쿨러와 같은 색상의 시트지로 마감을 했다.

 

 

 밧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충전구 구멍.

핸드폰 보조밧데리의 충전하듯이 충전구에 충전기를 꽂아서 사용하도록 했는데 출조길에 차량의 시가짹을 이용해도 된다.

 

 

 1년에 한 두번 충전하므로 충전구를 시트지를 오려 막았다.

낚시 행위중에 이물이 들어갈 수 있고, 세척하거나 비가 오는 날 물이 스며들수 있어서 시트지로 마감했다.

 

 

 휴대용 충전기를 매립하는 과정에서 흡집이 난 부위를 광고사에서 사진을 인쇄해 붙였다.

 

 

 

 이번에는 새우쿨러 내부 튜닝.

여름철에 아이스팩이나 작은 생수를 얼려서 넣은 경우가 있다.

새우를 살리기 위한 목적이다. 그런데 새우쿨러 내부에서 새우가 한쪽으로 몰려 압사하는 경우도 있다.

그래서 새우가 한쪽으로 기울지 않도록 생수병 두께 만큼의 위에 녹이 슬지 않은 알루미늄 조각을 양면 태이프를 활용해 4면에 붙였다.

 

 

 얼어 있는 생수병을 넣은 모습.

하절기에는 날씨가 너무 뜨거워 새우쿨러 역시 뜨겁게 열받아 있을 수있다.

새우를 구입할때 차가운 물로 새우쿨러의 열을 충분하게 식혀주고 새우를 담아야 한다.

얼음이 있어 시원하게 살릴 수 있다지만 그렇지 않다.

얼음을 넣었더라도 냉기가 퍼져 올라오기전에 새우를 쿨러에 넣은다면 쿨러의 열로 초기에 새우가 많이 죽어버리기 때문이다.

 

 

 

아래에 얼어있는 생수를 넣고 얼음의 냉기가 위로 빠져 나올 수 있도록 깔판을 깔았다.

깔판의 소재는 전기공사 자재를 파는 곳이면 구할 수 있고, 새우쿨러 내부 크기에 맞게 잘라 사용하면 된다.

 

 

 출조길 마무리된 새우쿨러에 새우를 구입하고 있다.(목포I.C 입구 신안낚시)

 

 

 

 

 

 밤낚시중에 촬영한 사진.

사진에서 처럼 보는바와 같은 조도이면 충분하게 새우를 골라 사용할 수 있다.

계절에 따라, 붕어의 입질 형태에 따라, 포인트에 따라 그리고 죽은 새우와 살아있는 새우를 골라서 사용할때, 굵은 새우만을 골라서 사용할때에 별도의 후레쉬를 켜지 않고도 새우쿨러 내부에 있는 조명만으로도 충분했다.

 

 

 

깔끔하게 마무리된 새우쿨러.

낚시춘추 3월호 특집 기사에 실릴 사진들입니다.

전문꾼들은 어떻게 장비를 관리하고 채비를 준비하는지가 핵심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3월호를 보시면되겠고, 간략하게나마 설명을 해 드립니다.

 

 채비보관함

낚시대는 한정이 되어 있고, 낚시 장르는 많습니다.

이 모든 장르의 낚시를 하려면 채비 전환은 필수적으로 뒤따르고,

쉽게, 또 현장에 맞게 전환이 빠르게 하기 위한 채비보관함 입니다.

 

 

 손잡이가 달린 휴대용 채비보관함입니다.

 

 

 내부에 칸을 만들어 낚시 장르별로 구분해 정리함으로서 편리하게 사용하게 했습니다.

 

목재를 이용해 줄감개를 만들어 교체하고 나온 채비를 이 목재 줄감개에 감아 놓으므로 채비 손실이나 찌가 부러지는 현상을 막을수 있어 좋습니다.

 

우측에 테이프를 감아 그 위에 매직으로 낚시대의 칸수를 적어 놓은 것이 특징으로 장르별로 색상을 달리 했고,

이때에 테이프는 약 다섯바퀴 정도 감아 놓은데 그 이유는 줄감개를 많이 가지고 다닐것이 아니라 몇 개만 가지고 다니며 그때 그때 그 낚시줄 칸수의 길이가 다르기 때문에 이미 적혀 있는 칸수를 지울수 없어 반바퀴 정도 만큼 잘라 내버리고 새로 매직으로 적으면되기 때문입니다.

 

 

 전미낚시, 떡밥낚시, 수초낚시, 대물낚시로 구분하여 보관중.

 예비용 찌를 아무렇게나 가지고 다니면서 찌몸통이 눌리는 현상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예비찌를 뚜껑에는 보관할 수 있게 했습니다.

 

 

 채비보관함을 열어보이는 필자.

 

 

소품보관함.

카메라 보관용 알루미늄 가방을 구입해서 사용중인데 부피가 큰 것이 단점이지만, 많은 소품을 한꺼번에 담아 다닐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열어보면 총 4단으로 구성이 되게 만들었습니다.

 

 

 뚜껑을 열어놓은 모습.

 

 

 뚜껑을 열어 전개 해 놓은 모습.

 

 

 1단.

뚜껑을 열면 저렇게 정리가 되어 있습니다.

비교적 가벼운 소품들이 들어가 있습니다.

 

 

 

2단.

뚜껑에 또 다른 뚜껑을 만들어 고무 패드를 붙이고. 거기에 묶어 놓은 전미낚시 바늘을 꿰어 놓아 바늘 쌈지의 역힐을 대신합니다.

 

 

 

 3단.

뚜껑을 열면 바로 보이는 소품함입니다.

낚시중에 흔히 사용하는 소품들만 들어갑니다.

 

 

 4단.

3단 소품함을 들어내면 보이는 것으로 맨 아래에 해당되는 칸입니다.

이곳에는 원줄이 홋수별, 종류별로 들어가고 상비약등 보통 예비품이 들어가 있습니다.

 

 

 

 채비를 준비하고 있는 필자.

대물낚시에서 전미낚시로 채비를 바꿔야 하는데....

 

 

 소품함과 채비보관함.

보통은 채비보관함은 차에 두고 소품함만 들고 물가로 내려갑니다.

 

 

 차량트렁크.

트렁크에 아무렇게나 장비를 쌓아 다니면서 장비가 어디에 박혀 있는지도 몰라 낚시터에서 효율적으로 장비를 사용하지 못한 단점을 보완하고져 15만원 정도의 비용을 들여 정리함을 만들었습니다.

장비가 눌리어 파손되는 예가 없고, 지렁이가 어딘가 박혀 썩어 냄새나는 경우가 없어 좋았고, 그 무엇 보다도  모든 장비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좋습니다.

 

 

 그리고 도난 방지를 위해 트렁크 내부에 나만이 알수 있는 곳에 두대의 감시용 카메라를 부착해 움직이는 물체가 1m 이내로 접근하면 녹회가 되겠끔 블랙박스를 설치해뒀습니다.

 

 

이제 슬슬 포인트 진입을 해볼까요??

 

낚시용 줄감개

김중석 [낚시춘추객원기자. (주)천류 필드스탭]

 

낚시의 장르도 여러가지이다.

예전에 낚시를 했던 꾼들은 지렁이와 떡밥낚시를 주로 했다지만 최근들어 대물낚시를 비롯 저부력 긴목줄를 이용한 낚시라든가 전미낚시, 수초직공낚시등 꾼들이 행하는 낚시가 많아 지고 있는게 현실이고 보면 발빠르게 현장에서 그 상황에 걸맞은 채비로 전환 해줘야 붕어의 얼굴도 보기에 수월하다.

 

낚시대의 갯수가 많아 따로 채비를 해서 가지고 다니면 문제 없겠으나 보통은 그러하지 못하다.

 

해서, 고안해 낸 것이 줄감개이다.

 

이 줄감개는 현장에서 바로 바로 대처 할 수 있는 가장 간편한 방법으로 사용해 본 꾼들만이 편리함을 아는 것이다.

 

 

찌를 보호해야 하기 때문에 빳빳한 나무를 이용해서 줄감개를 만들었다.

폭은 찌의 몸통보다 다소 넓게 했고, 길이는 평소에 사용하는 찌의 길이보다 더 길게 했다.

 

 

 

줄감개에 감겨질 낚시대의 칸수를 적어야 하므로 노란색이나 빨간색, 흰색등의 전기 테잎을 윗쪽 한 군데에 감았다.

 

 

 

완성된 모습.

 

 

 

테잎을 감을 때는 한바퀴가 아닌 4바퀴 정도 감는다.

 

 

 

이렇게 저부력의 찌를 사용할 때에는 대물 낚시 채비를 아예 잘라내버리고 사용 할 수는 없고 풀어낸 원줄을 어디엔가 보관을 해둬야 또 다시 대물낚시를 할때 사용해야 하는데 어디에도 보관 할 곳이 없었다.

 

 

 

이렇게 줄감개를 이용해 채비를 감아 놓으면 채비 전환에 빠르게 대응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2.8칸 4.0칸 3.6칸의 채비를 감아 놓은 모습이다.

줄감개 양쪽 끝에는 원줄을 감았을 때 벗겨지지 않도록 홈을 만들었고,

빨간 바탕의 테잎 위에 그 원줄이 몇 칸대의 원줄인지를 표시 해뒀다.

위에 사진에서 4바퀴 정도의 테잎을 감으라는 말은 그 줄감개에 다른 칸수의 원줄을 감을때 한 바퀴 정도 잘라 내 버리고 다시 매직으로 그에 맞는 칸수의 숫자를 적어 넣기 위함이다. 그러다 보면 몇번이고 다시 사용할 수 있고,

낚시 장르별로 색상을 달리해 본인만이 알 수 있는 채비가 된다.

낚시소품함

김중석 [낚시춘추객원기자. (주)천류 필드스탭]

 

 요즘은 낚시 장르도 다양해지고 그에 따른 소품도 가지각색이다.

왠만한 꾼들이라면 그 소품들이 한 다발씩 가지고 다닐건데 어떻게 하면 편리하게 사용해볼까 생각하다가 모든 소품을 한 곳에 넣어 다닐수 있는 낚시소품케이스를 만들어봤다.

 

가방은 카메라를 담아 가지고 다니는 박스형 알루미늄 가방을 사용했고, 내부에 여러 칸을 만들어 종류별 소품을 넣을수 있도록 짜임새있고 사용하기 편리하게 만든것을 목적으로 했다.

 

 총 5단계로 소품은 물론 묶여진 바늘까지도 한 곳에 넣어 다닐 수 있고, 뚜껑에는 붕어를 낚은 즉시 크기를 재어 볼 수 있는  계측용 표시도 해 두었다.

 

이제 이 낚시소품케이스 하나면 물가에서 모든것이 해결되리라 생각 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