뗏장수초 포인트 대편성


여름에는 붙이고, 겨울과 봄에는 약간 떨어뜨려라


김중석[낚시춘추 객원기자, 천류 필드스탭 팀장]

 

뗏장수초는 여러해살이 정수수초로 상류에서 중류로 이어지는 비교적 수심이 앝은 연안을 따라 군집(群集)하며 사토질에 많이 분포하는 수초이다.

땅에 뿌리를 내린 뗏장수초는 배수를 하여 바닥이 말라 있을 때는 잔디밭처럼 보이고 다시 물이 차오르면 마디마디에서 다시 뿌리가 나오면서 사방으로 퍼져 나가는 줄기 수초이다.

  뗏장수초대 역시 잘 닦여진 포인트보다는 생자리 포인트가 유리한데, 뗏장수초는 질기고 수초낫으로 잘 잘리지 않기 때문에 낚시인들 입장에서 봤을 때는 수초작업이 만만치 않다.

어느 정도 수초작업은 필수이지만 작업을 가급적 최소화하고, 줄기를 자르는 것보다 바닥을 깨끗하게 긁어내는 것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계절에 따라 뗏장수초에 찌를 세우는 포인트도 달라진다. 5월에는 새롭게 자란 뗏장수초 줄기가 뻗어나가면서 새롭게 붕어의 은신처를 만들어주고 수서곤충 등을 불러 모은다. 붕어들이 본능적으로 취이 목적으로 수초밭을 누비거나 뗏장수초 언저리를 회유하게 되므로 뗏장수초에 붙여 찌를 세우는 게 유리하다.

  그러나 겨울~봄 시즌에는 뗏장수초에서 50cm~1m 가량 떨어져 찌를 세워야 입질 받기가 수월해진다. 삭은 청태나 낙엽, 수초찌꺼기, 물때들이 물위에 떠밀려 다니다가 연안의 뗏장수초 언저리에 걸려 바닥에 쌓이는 경우가 많아 미끼가 함몰될 뿐만 아니라 붕어가 수초 가까이에 잘 붙지도 않는다.

  그리고 뗏장수초 포인트는 뗏장이 좁은 지역보다 넓게 분포되어 있는 지역이 좋다. 이러한 포인트는 낚시인이 연안 가까이에 앉아도 붕어가 인기척을 느끼지 않고 자유롭게 먹이활동을 하기에 좋은 방어막 역할을 해주기 때문이다.

다만 이런 곳에선 넓은 뗏장수초를 넘겨 칠 수 있는 장대가 필요한데, 요즘은 낚시인들마다 긴 낚싯대를 많이 사용하는 패턴이라 과감하게 공략할 수 있다.

 또, 뗏장수초 끝자락에 마름과 같이 서로 다른 수초군이 만나는 지점은 특급 포인트가 된다. 이때는 짧은 대를 중앙에 배치하고 좌우측에는 뗏장수초 라인을 따라 긴대로 공략하되 가급적 뗏장수초 끝자락에 찌가 바짝 붙도록 찌를 세워야 한다.

  또, 수초제거를 할 필요 없이 찌를 하나 정도 세울 수 있는 자연적인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면서 저수지 중심부 방향으로 수초지대가 통로 형식으로 조금이라도 열려 있다면 훌륭한 포인트가 된다. 이러한 곳은 바닥이 뗏장수초가 자랄 수 없는 암반이거나 단단한 황토지역이나 자갈이 많은 토질일 가능성이 높다. 그만큼 바닥이 깨끗하므로 붕어가 먹이활동을 즐겨 하는 곳이다. 토종터일 경우에는 새우나 참붕어 미끼로 공략하고 외래어종이 유입된 낚시터라면 글루텐떡밥을 이용해 공략하면 좋은 조황을 만날 수 있으므로 놓쳐서는 안 될 포인트이다.

  또한, 평지형 저수지 제방이나 준계곡형 저수지의 중류에 보면 뗏장수초가 넓게 형성되지 않고 연안에서 좁은 폭으로 띠를 이루면서 자라고 있는 것을 흔하게 볼 수 있는데 이러한 포인트도 놓쳐서는 안 될 포인트이다.

이런 포인트는 뗏장수초가 밀생하지도 않으면서 자갈이 많이 섞인 사토질의 지질을 갖춘 곳이 특징으로 약간의 경사도가 있는 지형이라 보면 되는데 물가에 접근해 앉은 것보다도 갓낚시 개념으로 물가에서 적당히 떨어져서 낚싯대를 펼쳐야 한다. 낮에 깊은 곳에서 휴식을 취하던 붕어들이 먹이 활동을 위해 밤이 되면서 연안 뗏장수초 언저리로 파고들기 때문이다.

 

 뗏장수초가 중앙부까지 분포되어 있는 곳은 가뭄에 자주 마를 가능성이 높은 곳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제방권에 수심이 앝은 곳은 붕어의 개체수가 적겠지만, 수심이 깊고 뻘층이라면 대부분의 붕어는 가뭄에도 생존해 있을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곳은 바닥이 자주 말라 자외선 소독이 되고 새롭게 뗏장수초나 육초들이 자라게 되고 다시 물이 차오를 때는 각종 미생물들의 서식처가 되므로 이를 알고 있는 붕어들이 본능적으로 몰리기도 한다.





 

대물낚시의 경량화 2

 

낚시대, 과연 다다익선(多多益善)이 좋을까?

 

김중석 [낚시춘추객원기자. (주)천류 필드스탭]

 

요즘 물기에 나가보면 대부분의 꾼들은 포인트내의 붕어는 모조리 낚아낼 요량인 것처럼 적게는 8대부터 많게는 20여대까지의 대를 펴서 대물낚시를 하고 있다.

요즘 대물낚시가 아니더라도 다대편성이 낚시의 원칙인 것처럼 되어 버렸다.

 

본인의 받침틀이 12단 짜리라고 가정했을 때 모든 꾼들은 12단을 다 채워야 직성이 풀리는 듯 하고 모자라면 땅에다 더 추가로 받침대를 꽃아 더 펼 때도 있다.

 

필자의 견해로는 절대 아니라고 생각된다.

정말 좋은 포인트에 진입했을 때 수초 분포도나 물색, 수심, 깨끗한 바닥상태 등을 고려하여 이곳만은 붕어가 회유하는 길목이겠다고 생각될 때 그곳에만 몇 대의 낚시대를 이용해 찌를 세워야 한다.

예를 들면 그날 그 포인트에 붕어가 나올법한 곳이 세 곳이라면 세 대를...

여섯 곳이라면 여섯 대의 낚시대를 펼 필요가 있다.

정작 붕어 길목은 여섯 개인데 욕심대로 열 두 대의 낚시대를 다 편다면 나머지 여섯 대의 찌는 의미 없는 것이고 집중력만 분산 시키는 것이라 생각된다.

 

꾼의 입장에서 보면 그만큼 시각이 분산되어 전체 찌를 시각적으로 보기도 힘들뿐더러 정작 중후한 월척의 입질이 왔을 때 적절한 챔질 타이밍을 잡지 못할 때가 많기 때문이다.

 

또 다른 이유로는 바닥 상황이 좋지 못해 찌가 내려가지 않아 밤새도록 투척해 소란을 피우는 것 보다는

바닥이 비교적 깨끗한 포인트에만 낚시대의 숫자를 줄여 펼치므로서 정신이 산만해지는 것을 막고 낚시에 몰입하면서 어쩌다 한번 찾아오는 입질을 놓치는 우를 범하지 않을 것이다.

 

결론은 최적의 포인트에 최소한의 낚시대를 펼치므로서 낚시에 집중력을 높여 어쩌다 들어오는 대물의 입질을 놓치지 않고 낚아냄에 있다.

'♣ 낚시의 無限 즐거움 > 낚시이론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안에서 겨울철 낚시  (0) 2012.02.10
대물낚시의 경량화 1  (0) 2011.10.27
대물낚시의 경량화 3  (0) 2011.10.27
대물낚시의 경량화 4  (0) 2011.10.27
대물낚시의 경량화 5  (0) 2011.10.27

+ Recent posts